분류 전체보기(394)
-
유니티 Damage Text 만들어보기
안녕하세요 유니티 비기너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아군 또는 적이 피해를 입히거나 입혔을 때 나타나는 Damage Text를 만들어보겠습니다. 결과 화면 1. Sprite 준비 위와 같이 3가지 Sprite를 준비했습니다. 2. 오브젝트들을 생성합니다. Background : 배경 (없어도 무관합니다) Canvas : UI Text는 반드시 Canvas 아래에 생성되어야 합니다 Player : 키 입력을 받고 총알을 발사할 오브젝트 Enemy : 총알을 받아내는 오브젝트 (tag를 Enemy로 변경) Bullet : 총알 오브젝트, Animator가 포함되어있습니다. DamageText : Damage를 표시할 오브젝트, Scale값을 제어하여 생성 지점에서 점차 상승하여 사라지는 느낌을 주었으며 Anima..
2020.07.11 -
유니티 코루틴을 활용한 Fade In Fade Out
안녕하세요 유니티 비기너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코 루틴을 활용하여 fade in과 fade out을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결과 화면 플레이어가 우측으로 이동시 FadeOut이 실행되어 검정화면을 FadeOut 시켜 뒷 배경이 나타납니다. 반대로 좌측으로 이동시 FadeIn이 실행되어 검정화면이 다시 나타나게 합니다. 연출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BoxCollider를 활용하여 FadeIn FadeOut이 작동하도록 하였지만 이 방법을 응용하여 다양한 연출들이 가능합니다. 방탈출에서 방을 이동할 때 Fade In Out 처리를 하여 깜박거림을 표현한다던가 2D 게임의 건물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 지붕이 FadeOut 되어 내부가 보이게 표현하는 등등이 있습니다. 스크립트 private void OnT..
2020.07.09 -
유니티 DontDestroyOnLoad 씬 반복 전환 시 활용법
안녕하세요 유니티 비기너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DontDestroyOnLoad를 이용하여 씬을 반복해서 전환하는 경우 활용법 몇 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irst Scene -> Second Scene 이동하는 경우 public class SceenController : MonoBehaviour { private void Awake() { DontDestroyOnLoad(gameObject); } } DontDestroyOnLoad를 이용하여 씬 전환 시에도 오브젝트를 유지하는 코드입니다. 이 부분에선 크게 고려해야 할 부분은 없습니다. Seconde Scene -> First Scene 이동하는 경우 public class SceenController : MonoBehaviour { private..
2020.07.08 -
유니티 카메라 culling Mask사용해보기
안녕하세요 유니티 비기너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카메라 컴포넌트에 포함되는 Variable 중 하나인 culling Mask를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니티 안에서는 다양한 오브젝트(캐릭터, 몬스터 등등)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오브젝트들을 화면에 보이게 하기 위해선 카메라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카메라의 기능 중에는 Culling mask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이 부분을 제어하여 특정 Layer만 카메라에 비치게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결과 화면 한 번에 보기 1. 스프라이트 이미지를 준비합니다. 2. 오브젝트를 생성합니다. 3. User Layer를 추가합니다. 4. 스크립트를 작성합니다. 5. 버튼컴포넌트를 추가하고 layer를 변경해주고 스크립트를 할당합니다. 1. 스프라이트 이미지를 준비..
2020.07.07 -
유니티 Unity Ads 게임 ID 위치 찾기
안녕하세요 유니티 비기너입니다. 작업하시고 계신 프로젝트에 Unity Ads 광고를 사용하기 위해선 프로젝트의 게임 ID를 필요로 하며 게임 ID의 위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다른 사람들의 블로그들은 Dashboard 리뉴얼 전의 정보들이라 찾는데 힘드실 거 같아 글을 올립니다. 한 번에 보기 1. 유니티 Service Tab > UnityAds - Dashboard를 클릭합니다. 2. Unity Dashboard 상단의 Operator로 이동합니다. 3. 좌측의 Projects로 이동하고 찾고자 하는 게임 ID의 프로젝트를 검색합니다. 4.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Settings > Project Setting을 클릭합니다. 5. Game ID를 확인합니다. 1. 유니티 Service Tab > Uni..
2020.07.06 -
유니티 갑자기 UI 버튼이 클릭되지 않을 때 확인해보기
안녕하세요 유니티 비기너입니다. 유니티를 막 다루기 시작하신 분들은 작업하시다 보면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던 UI 버튼들이 어느새 전혀 클릭이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EventSystem 오브젝트 확인하기 하이어 라키 안에 EventSystem 오브젝트가 생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EventSystem은 키보드, 마우스, 터치 및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는 기능을 하며 해당 오브젝트가 없다면 UI 버튼들은 동작하지 않게 됩니다. 그리고 EventSystem은 Scene에 1개 만을 포함해야 합니다.
2020.07.05